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

환율 변동 & 무역 가격 전략 – Forward · Option 실전 활용 1. 왜 환율이 가격 전략의 핵심인가?Cost Base : 수입 원가의 70–90 %가 외화 결제. 환율 ±3 % 변동 시 마진이 증발할 수도 확대될 수도 있다.Quote Validity : 견적(Quotation) 유효기간이 30일 이상이면 환율 리스크 노출. 고정 단가 전략은 Hedge 없이는 위험.Cash Flow : 선금 T/T → 나머지 잔금 L/C Usance 90 days. 환율 타이밍을 잘못 잡으면 현금흐름 악화.Rule of Thumb : 마진 10 % 이하 제품 = 환율 ±3 %만 변동해도 손익분기점을 위협.2. 기초 용어 스냅샷용어 정의 실무 메모Spot Rate현물환율(거래+2영업일 결제)오늘 체결, T+2 지급Forward Contract미리 정한 환율로 미래 일정에 매입·매도은행.. 2025. 7. 14.
리픽싱 조항이 뭐길래? (리픽싱,전환사채,투자전략) 메타디스크립션 | 리픽싱은 전환사채 투자 수익률을 뒤흔드는 숨은 변수입니다. 구조·발동 조건·실전 대응법을 실제 사례로 5단계로 파악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글 읽기 전 핵심 한 줄전환사채에 붙은 리픽싱 조항은 주가 하락 때 전환가를 자동 인하해 주식 수를 늘립니다. 투자자는 이 조건을 발행·발동·해제 전 과정에서 단계별로 점검해야 뜻하지 않은 희석 충격을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1. 리픽싱, 용어부터 정확히 짚자리픽싱(Refixing) 이란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명시된 전환가격을 일정 조건에서 자동 조정(대개 인하)하는 장치를 말합니다.발행 당시 전환가격: 1만 원주가 급락 → 리픽싱 트리거 충족새 전환가격: 7천 원으로 인하 → 동일 금액 투자 시 주식 수 1.43배 증가결국 발행사는 낮은.. 2025. 7. 13.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투자 기회를 만드는 다섯 단계 전략 (신주인수권부사채,BW,투자전략) 메타디스크립션신주인수권부사채 (BW)는 낮은 금리와 주식 매입 옵션을 합친 하이브리드 채권입니다. 발행 구조·주가 영향·투자자 대응 5단계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알려드리고자 합니다.0. 서론 ─ “하루짜리 악재일까, 장기 모멘텀일까?”BW 공시는 대개 장 마감 뒤 뜨고, 다음 날 주가는 출렁인다고 볼 수 있죠.그러나 구조·조건을 꼼꼼히 읽으면 단기 하락을 저가 매수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이번 글은 BW 발행 직후 투자자가 따라야 할 5단계 체크리스트를 현실 사례에 얹어 정리했습니다.1. BW 기본 개념 - 채권 + 신주매입 권리구분 내용본체원금·이자를 약속하는 채권옵션일정 가격(행사가)에 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기업 입장옵션 덕분에 금리를 낮춰 대규모 자금 조달투자자 입장이자 수령 + 주가 상승 .. 2025. 7. 10.
다린이라면 ‘손 보호’부터! – 1.5 mm 다이빙 장갑 실사용 후기 “물속에서 셔터를 눌러야 하는데 손끝이 얼쩡거리면 어쩌지?”지난달 사방비치에서 느꼈던 바로 그 걱정, 이 장갑 하나로 싹 사라졌습니다. 🌊🧤1. 왜 얇은 장갑이 필요할까?수온 26-28 ℃라도 연속 다이빙 세 타임쯤 되면 손이 서늘해져요.난파선·암초를 스치며 지나가다 보면 잔 흠집이 금방 생깁니다.두꺼운 3 mm 글러브는 따뜻하지만, 카메라 버튼이나 버클 조작이 조금 굼떠요.그래서 저는 이번 여행에 1.5 mm 네오프렌 장갑을 챙겨 갔습니다. 두께가 얇아 손끝 감각이 살아 있고, 얇지만 바깥쪽에 미세한 실리콘 무늬가 있어서 카메라 하우징을 잡아도 미끄럽지 않더라고요.2. 실제 다이빙에서 써보니다이빙 포인트 상황 장갑이 해준 일산호 보호 및 손 보호산호에 가까이 접근해 접사 촬영셔터 연타에도 손이 편안.. 2025. 7. 4.
자금 조달 수단이 곧 투자 기회입니다 메타디스크립션전환사채와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 가장 자주 활용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이 글에서는 각 방식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과 투자자가 단계별로 대응해야 할 실제 전략을 세밀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1. 서론 ― 자금 조달 수단이 곧 투자 기회입니다기업이 돈을 마련하는 순간은 곧 주가의 분기점입니다. 자금 조달이 호재가 될지, 악재가 될지는 구조와 조건에 달려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환사채(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와 유상증자(새 주식을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를 비교하고, 투자자가 반드시 거쳐야 할 다섯 단계 분석 프로세스를 실제 사례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2. 전환사채와 유상증자, 핵심 개념 정리구분 전환사채 유상증자정의정해진 가격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신규 ..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