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중국 수입 실전 케이스 분석: 숄더백 200개 수입하기
중국에서 상품을 수입해 판매하려고 할 때, 이론만으로는 감이 잘 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숄더백 200개를 실제로 수입한다고 가정하고, 단가 협상부터 물류비, 통관, 관부가세 계산에 이르기까지 초보자가 알아야 할 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1688 페이지 상의 단가를 기준으로 어떻게 가격 협상을 진행하고, 운송 및 각종 부대 비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산출되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전체 흐름을 한 번 쭉 읽어보시면, 비슷한 물량으로 중국 수입을 시도할 때 어떤 비용과 절차가 필요할지 감이 잡힐 것입니다.
1. 기본 상황 설정
- 수입 상품: 숄더백
- 수량: 200개
- 1688 페이지 상 단가: 25위안 (원화 환산 시 환율에 따라 달라지지만, 여기서는 위안화로 계산)
- 협상 후 단가: 22위안으로 인하(협상 성공)
- 내륙운임: 100위안(공장에서 배대지까지 이동)
- opp 봉투 포장: 별도 비용은 1688 판매자와의 협의 사항
그리고 해외 운송(국제배송비)나 통관에 필요한 여러 비용이 추가됩니다. 아래에서는 품목에 맞는 HS CODE, 컨테이너 작업비, 원산지 표기 방법, D/O 비용, 관부가세 등의 내용을 실제 수치로 살펴보겠습니다.
https://s.1688.com/selloffer/offer_search.htm?keywords=%C5%AE%B0%FC&spm=a260k.home2024.searchbox.0
s.1688.com
2. 중국 내 비용 정리
2-1. 상품 단가
- 기본 단가(1688 페이지상): 25위안
- 처음엔 25위안이었으나, 판매자에게 “한국에서 계속 거래하겠다”고 어필하여 22위안으로 협상했습니다. 협상 시 MOQ나 장기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것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 총 상품 금액
- 22위안 × 200개 = 4,400위안
- 위안화 환율이 가령 1위안=190원 정도라고 가정한다면, 대략 836,000원 가량입니다. (실제 환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 opp 봉투 포장
- 종종 판매자가 무료로 opp 봉투를 제공하기도 하고, 별도 요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내륙운임 100위안'에 포함했다고 볼 수도 있으나,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아 별도 비용으로 간주하지는 않겠습니다.
2-2. 내륙운임
- 중국 공장(혹은 판매자) → 웨이하이 배대지 창고까지 100위안으로 판매자와 협의 보았습니다.
2-3. 컨테이너 작업비 / 혼적비 등
- 1cbm : 80,000(원)
- 여기서 1cbm을 80,000원이라 표기한 것은, 사업자 LCL출고 기준이며, 50kg미만일 경우 보통 무게단위로 출고하는게 더 저렴합니다. 이건 배대지마다 금액이 달라서, 이용하고자 하는 배대지에 문의하시는게 가장 빠릅니다.
- 숄더백 200개면 부피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는 계산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가방 200개가 1cbm 정도에 들어갈 수도 있고, 조금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박스에 20개씩 총 10박스 정도면, 박스 크기(가로×세로×높이)를 곱한 뒤 10개를 합산해 1cbm 넘는지 확인합니다.
- 컨테이너 작업비: 10,000(원)
- 창고에서 컨테이너에 적재하거나 분배할 때 드는 인건비입니다. 해상 운송 시 혼적창고에서 일정 고정비를 청구하는 경우가 있으며, “작업비” “창고 핸들링피” “수수료” 등 명칭이 다양합니다.
- CO (Certificate of Origin): 38,000(원)
-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발급 비용 38,000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 숄더백 HS CODE가 4202.22인지 확인해 “중국-한국 FTA”가 적용되는 품목인지, 이 CO 발급으로 관세를 0퍼센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 H/C : 11,000(원)
- H/C는 흔히 “Handling Charge”의 줄임말입니다. 포워더가 항차 예약, 서류 발급, 혼적 등 절차를 처리하는 수수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2-4. 원산지표기 비용(바이어 납품 용도 or 국내 판매 용도)
- 재봉 표기: 200원×200개 = 40,000원
- 숄더백에 “MADE IN CHINA” 등 원산지 표기를 재봉 라벨로 달 경우, 라벨 제작비나 봉제 비용이 1개당 200원씩 든다고 가정
- 총 200개이니 200×200원=40,000원이 되겠죠.
- 이 때, 단순 스티커 표기 대신 재봉 라벨을 선택한 이유는 가방 같은 상품의 원칙 원산지표기는 재봉이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스티커 부착 후 출고 시 세관에서 걸릴 수 있습니다.
2-5. 쿠팡 바코드 부착: 개당 100원
- 200개 × 100원 = 20,000원
- 이는 쿠팡 로켓그로스 창고 입고를 위해 각 상품에 라벨을 붙이는 비용입니다. 배송 대행지에서 라벨 부착을 대행해주거나, 돈을 아끼려면 국내에 도착한 뒤 스스로 라벨링할 수도 있습니다.
3. 국제 운임 / 통관 관련 비용 정리
3-1. 국제 운임
- 가정하건대 1cbm 기준 80,000원이라고 써 있으니, 혼적(LCL) 해상 운송으로 1cbm 잡고 80,000원 + “컨테이너 작업비 10,000원 + H/C 11,000원” 등을 모두 합쳐 총 해상 비용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예:
- 1cbm 운임: 80,000원
- 컨테이너 작업비: 10,000원
- H/C: 11,000원
- 원산지증명 발행 : 38,000원
- 대략 139,000원 정도의 해상 관련 비용이 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3-2. D/O 비용: 22,000원
- D/O(Delivery Order)는 선박 도착 후 화물을 찾기 위해 필요한 서류 발급 비용으로, 포워더에 지불합니다.
- 22,000원이면 일반적인 수준입니다. 배대지에 내는 경우도 있고 관세사에게 납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3. 국내 보세창고 창고료
- 세관에서 랜덤검사를 지시하면, 보세창고에 물건을 풀어 검사하는 동안 창고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걸리지 않으면 0원, 걸리면 몇만 원 정도 들 수있으나 큰 비용은 아닙니다.
3-4. 관부가세 (HS CODE 4202.22)
- 기본 관세율 8퍼센트
- 가방(4202류)은 일반적으로 8퍼센트 관세율이 적용되는데, CO를 발행해서 관세 0원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부가가치세 계산
- 관세가 0퍼센트라면, 과세가격 = (상품금액+해상운송비+기타비용)이고, 관세가 0원이니 (과세가격+관세) × 10퍼센트로 부가세를 산출하면 됩니다.
- 부가세 구체 예시
- 과세가격을 상세 계산해봐야 하나, 여기서는 전체 “CIF(수입 원가)”를 대략적으로 추정해야 합니다.
- 예: (상품 비용 4,400위안 + 내륙 운임 100위안 + 해상 운임 80,000원 등)을 환산해 하나의 원화 금액으로 바꿔 과세가격을 산정.
- 만약 과세가격이 1,000,000원(가정)이라면 관세가 0퍼센트이므로 0원, 부가세는 100,000원(10퍼센트). 실제로는 조금 더 복잡하게 계산해야 하지만 원리는 같습니다.
4. 국내 배송 및 판매
4-1. 국내 운송: 용달 비용 대략 7만원
- 화물이 통관 완료 후, 인천 세관 창고에서 내 창고로 옮기는 데 용달비 70,000원이 든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4-2. 최종적으로 쿠팡에서 판매 시작
- 모든 과정이 끝나면, 국내에 입고된 숄더백 200개에 쿠팡 바코드를 직접 붙여 로켓그로스 창고로 보낸 뒤 판매를 시작합니다. 초도 물량은 얼마나 팔릴 지 모르니, 한 박스 30개 정도만 먼저 입고시키는 걸 추천드립니다.
5. 비용 요약
- 상품 비용
- 22위안 × 200 = 4,400위안 (환율 가정: 1위안=190원 → 약 836,000원)
- 내륙운임: 100위안 (약 19,000원)
- 해상 혼적비:
- 1cbm 운임 80,000원
- 컨테이너 작업비 10,000원
- H/C 11,000원
- CO 발급비 38,000원 (FTA 활용으로 관세 0원)
- 모두 합치면 80,000 + 10,000 + 11,000 + 38,000 = 139,000원
- 원산지 라벨: 재봉 200원×200 = 40,000원
- 쿠팡 바코드: 100원×200 = 20,000원
- D/O(Delivery Order): 22,000원
- 국내 운송(용달): 70,000원
- 관부가세:
- 관세 0원(FTA 적용)
- 부가세 (과세가격×10퍼센트). 과세가격은 (상품금액+해상운임+기타비용) 환산한 금액이라 대략 1,000,000원 전후라 가정 시 100,000원 수준. 정확한 수치는 실 결제 때 관세사 산출에 의해 결정됨.
5-1. 총합 예시
예를 들어, (상품금액 836,000 + 내륙운임 19,000 + 해상 쪽 139,000 + 라벨 40,000 + 바코드 20,000 + D/O 22,000 + 국내 용달 70,000 + 부가세 100,000) 정도를 합치면 대략 1,246,000원(플러스 알파) 정도가 나옵니다. 여기에 혹시라도 보세창고 창고료(랜덤검사 시)나 추가 잡비가 있을 수 있으니, 1,300,000~1,400,000원 정도를 잡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200개 수입 시 1,300,000원 전후의 총비용이라면, 개당 최종 원가는 약 6,500원~7,000원 선이 됩니다(환율이나 실제 계산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이를 쿠팡에서 몇 원에 팔면 적정 마진이 나오는지 다시 판단하면 되겠죠.
6. 초보자가 놓치기 쉬운 포인트
- 중국어 협상 및 샘플
- 1688 단가가 25위안이어도, 협상을 통해 22위안으로 낮출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초보자는 그냥 페이지 가격 그대로 살 가능성이 큰데, “지속 거래 의사”를 강조하면 의외로 깎아주기도 합니다.
- 납기 일정도 반드시 챙겨보세요. 공장 사정으로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 원산지증명서(CO) 발급 이유
- 관세 0원 혜택을 누리기 위해 ‘중국-한국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원산지증명서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없으면 8퍼센트 관세를 내야 하니, CO 발급비 38,000원을 지불해도 장기적으로 더 이득이라는 계산이 서면 활용하세요.
- 합리적인 MOQ 설정
- MOQ가 너무 많으면 재고 부담이 커집니다. 200개 정도가 적절한지, 미리 시장조사를 해봐야 합니다.
- 의류, 패션잡화는 사이즈·색상이 다르면 재고 관리가 더 복잡해지므로, 라인업을 최소화한 뒤 수량을 집중하는 전략이 좋을 수 있습니다.
7. 결론: 체계적으로 계산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초보 셀러가 중국에서 200개 정도의 가방(숄더백)을 수입한다는 이 케이스는, 규모가 크지 않아도 관세, 부가세, 운송비, 원산지증명서 발급비 등 다양한 비용 항목이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조금만 놓치면 예상치 못한 비용이 발생해 마진을 깎아먹을 수 있으니, 미리 꼼꼼하게 항목별로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다음과 같은 요점이 핵심입니다:
1) 판매자 협상을 통해 단가를 낮추고, MOQ를 적절히 조정
2) 컨테이너 혼적비, CO 발급비, H/C, D/O 등 국제 물류비 항목을 꼼꼼히 합산
3) 원산지표기(재봉 라벨 등)과 쿠팡 바코드 부착을 사전에 계획해 비용 반영
4) HS 코드가 정확히 4202.22이고, FTA를 활용한다면 관세가 0원 될 수도 있음(단, CO 발급 필요)
5) 국내 운송(용달비 7만원)까지 포함해 최종 개당 원가를 산정, 판매가 전략 수립
중국 소싱은 이렇게 단계별로 정리를 잘 하면 “어느 부분에서 얼마가 들고, 어떤 절차가 필요한지”가 한눈에 보여요. 가령 “CO 발급에 38,000원이라 너무 아깝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관세 8퍼센트가 면제된다면 물건값이 어느 선을 넘을 때부터는 이 비용이 훨씬 이득으로 돌아옵니다. 결국 수입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고, 꼼꼼히 숫자를 맞추는 셀러가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마진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혹시 이 글을 보며 “복잡하네”라고 느끼더라도, 실제로 한 번만 해보면 다음 수입 때부터는 계산이 훨씬 빨라집니다. 프로세스를 숙지해놓으면, 나중엔 만 개·2만 개 대량 사입을 고려할 때도 큰 힘이 됩니다.
이 사례가 수입 초보자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길 바라며, 국내외 물류와 통관 과정을 잘 준비해보세요. 숄더백 200개 수입부터 시작해, 점차 라인업을 늘려 더 큰 온라인 사업으로 도약하길 응원합니다!